본문 바로가기
Blockchain/Theory

NFT 프로젝트 A to Z (리버스 엔지니어링)

by soccerman 2022. 2. 19.
반응형

운좋게 유명 NFT 프로젝트의 홀더가 되는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시작부터 현재까지 관찰한 경험을 토대로 NFT 프로젝트 운영을 리버스 엔지니어링 해보고자 합니다.

개요

  1. NFT 그림 생성
  2. 화이트 리스트 선정
  3. 민팅
  4. 그림 공개
  5. 수익 구조
  6. 커뮤니티 운영 (디스코드)
  7. 필요인력
  8. 총평

NFT 그림 생성

작가를 섭외하고 디지털 아트 제작. 카테고리화 하여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몇가지 그림을 제작합니다.

예를들어 얼굴, 헤어, 상의, 배경, 피부색 등의 컴포넌트들에 각 10가지의 그림만 그려도 조합을 통해 10**4 개 즉 10000개의 NFT 그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NFT 프로젝트들은 주로 한프로젝트당 대략 10000개의 그림을 민팅합니다.

해당 사진은 본인과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화이트 리스트 선정

화이트 리스트 선정의 경우 주로 트위터와 같은 SNS에서 프로젝트 홍보글을 리트윗한 사람들 중 추첨을 통해 부여합니다.(다른 방식도 존재) 선정시 운영진에게 개인 메타마스크 주소를 전송하고, 이들이 DB에 등록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화이트리스트 부여 후 민팅을 보장하는 경우도 있고 클레이튼 NFT의 경우 선착순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해당 사진은 본인과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민팅

화이트리스트 선정되고 민팅하기까지 한달정도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민팅의 경우 NFT 프로젝트 웹사이트로 접속하여 ,화이트 리스트로 등록한 메타마스크를 사용해 진행했습니다. 화이트리스트 선정자가 4천여명 됐습니다. 웹사이트 접속시 브라우저에서 제가 화리 소유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래 두가지 방식 중 하나로 민팅 프로세스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메타마스크 플러그인 인터렉션 방식 파악 필요)

  1. 화이트리스트 메타마스크 주소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등록
    1. 브라우저 접속시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ex) verifyWhiteListHolder()
      1. if True => 화이트리스트 대상자이십니다. => 민팅버튼
        1. 민팅버튼 클릭 => Mint() => if Msg.sender is in whiteList[] then => transfer NFT to Msg.sender
      2. if Not => 화이트리스트 대상자가 아닙니다. => 민팅버튼 X
  2. 화이트리스트 메타마스크 주소를 DB에 등록후 Authentication 후 스마트컨트랙트 접근권한 부여?
    1. 메타마스크 지갑 인터렉션 방식 확인 필요

그림공개

민팅 후 그림공개까지는 1~2주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중간에 시간을 두는 이유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민팅 후 그림공개 직전까지 대략 40배의 가격 상승이 있었습니다. 그림공개 전에는 OpenSea에서 프로젝트 기본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고, 그림공개 이후에는 OpenSea에서 본인의 NFT 실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는 것인지 파악이 필요합니다. 아마 IPFS에 기본값을 매칭시켜놓고 공개후 이를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예상합니다.

NFT project Cool Pet의 그림공개전 모습

그림 공개 이후 그림에 대한 개인적 선호로 판단이 들어가 많은 물량이 OpenSea에 리스팅 되게 되고 시장에 공급량이 많아져 가격하락이 발생합니다.(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에서 같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프로젝트에 따라 소폭 가격하락 이후 급상승하는 경우도 있고(Azuki), 가격이 꾸준히 하락하며 거래량이 줄어드는 등 상황이 좋지않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Azuki 프로젝트 가격흐름 그래프

따라서 그림공개가 매우 중요한 단계로 여겨지고 각 프로젝트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수익구조

제가 파악한 바로는 프로젝트 팀 관점에서 크게 두가지 수익이 있습니다.

  1. Presale 및 Public sale 민팅 수익
    1. 일회성 수익
    2. 주로 1만개의 NFT를 발행하는 것으로 보아, 민팅 가격이 30만원만 되더라도 30억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2. OpenSea NFT 거래 로얄티 수익
    1. 지속적 수익
    2. OpenSea를 통한 NFT 거래시 거래액의 8.9%가 NFT Creator에게 돌아갑니다. 따라서 1만개를 모두 100만원에 거래 한다고 하면 1000000*0.089*10000 = 8억9천만원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이는 지속적입니다.
    3.  
      OpenSea 거래 수수료 구조

커뮤니티 운영  (디스코드)

NFT 프로젝트의 커뮤니티는 주로 디스코드를 통해 구성됩니다. 누구나 디스코드방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에서 구분되는 자격

  1. 운영진
  2. 화이트리스트 홀더
    1. 화이트 리스트 등록한 지갑 인증
    2. 인증 채널에서 디스코드 bot에 명령어 입력 (ex) MyAddress : 012xxxxsdfsd~~~
      1. 디스코드 새로운 채널 (ex) White List Holder 공간 접근 권한 부여
      2. Discord Api를 핸들링하는 웹서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됨.
  3. NFT 홀더
    1. NFT를 가지고 있는 지갑 인증
    2. 화이트 리스트 인증 방식과 동일
      1. 아마 인증 후 NFT를 팔게되면 자동으로 NFT홀더 공간 접근권한이 박탈되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됨

커뮤니티에서 필요한 기능

  1. 커뮤니티 규칙
  2. 공지사항
    1. 빅 이슈에 대해 공지할 공간이 필요합니다. (화이트 리스트, 민팅, 현실세계 이벤트(의류 콜라보, 음원 발매 등))
  3. 소통 공간
    1. 일반인
    2. 화이트리스트 홀더
    3. NFT 홀더
  4. 최근 NFT 거래내역
    1. OpenSea에서 해당 프로젝트 NFT가 거래되는 내역을 업데이트해서 디스코드에서 보여줍니다. 이는 해당 커뮤니티원들이 투명하게 거래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가격이 계속 올라가는 경우 OpenSea에서 delist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매 거래내역에 대한 코멘트(이모티콘 표시) 등으로 커뮤니티에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5. 이벤트
    1. 일반인
      1. 주로 NFT 프로젝트 선전을 위한 트위터 홍보 이벤트
    2. NFT 홀더
      1. 타 NFT 프로젝트와 collabo => 해당 프로젝트 트위터 홍보 => 화이트리스트 추첨
        1. 해당 NFT 홀더들에게 타 프로젝트 화이트리스트라는 이익을 제공
        2. 타 프로젝트는 구매력이 강한 홀더들이 화이트리스트 홀더로 유입
          1. 실제로 화이트리스트 홀더이지만 presale시 민팅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presale때 soldout되지 않고 public sale로 넘어가면 프로젝트에 대한 부정적인 시그널로 인식될 수 있어 중요한 부분이라 파악됩니다.
  6. 사기 Report
    1. 디스코드 입장시 DM으로 white List에 당첨됐다는 메시지가 많이 옵니다. 프로필 사진과 이름 그리고 홈페이지까지 비슷하게 꾸며놓은 사기단이 존재하여 피해가 발생합니다. 이를 보고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디스코드 채널에서 Bot을 통해 자동화된 작업이 많습니다. 크게 어려운 서버 운영이 아니라 판단됩니다. (NFT 자격증명, OpenSea 거래내역 자동 업데이트 등)

 

필요인력

  1. 운영진
    1. 프로젝트 운영방향 설정
    2. 타 프로젝트와 콜라보
      1. 가상 전시회 콜라보
      2. 신규 프로젝트 화이트리스트 TO 확보
    3. NFT 프로젝트 브랜딩
      1. 오프라인 전시회
      2. 의류 및 프로덕트 제작
      3. 언론화
      4. 예술계 콜라보 (음악 등)
  2. 웹개발자
    1. 디스코드 API 핸들링 웹서버
    2. 프로젝트 main 웹 호스팅
  3. solidity 개발자
    1. 스마트컨트랙트 관리
      1. 화이트 리스트
      2. 민팅
      3. etc
  4. 커뮤니티 서포터
    1. 커뮤니티 분위기 관리 및 민원사항 처리
      1. 소폭의 가격하락에도 많은 민원이 발생, 부정적 분위기 조장의 위험이 존재
      2. 화이트리스트 및 민팅 과정 다양한 민원 발생, 이를 조정할 인력이 필요
    2. 보상을 어떤 방식으로 주는지 파악이 안됨

총평

 대략 2달동안 NFT 프로젝트에 홀더로 참여한 개발자로서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커뮤니티는 프로젝트 운영진과 NFT 홀더로 이루어져 있고 구성원들의 목표는 NFT 가격상승과 커뮤니티 활성화로 동일합니다.

 프로젝트에 개인 홀더로 참여하면서 얻을 수 있는 점은, 모두가 동일한 목표를 가진 커뮤니티에 소속되는 소속감, 디지털 아트를 소유함으로서 느끼는 행복, 최신 트렌드 파도에 올라탔다는 기분, 기대 투자수익에 대한 기대감 등이 있었습니다.

 만약 NFT 프로젝트가 미술적 가치가 있는 디지털아트를 제공하고 커뮤니티에서 구성원들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는 획기적인 다양한 이벤트들을 잘 진행한다면, 사회에 충분한 가치를 창출하는 비즈니스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허나 현재 단순한 컴포넌트들의 반복으로 생성되는 NFT에 대해 미술적 가치가 있는지 의문이 들고, 커뮤니티 운영진들이 정말 구성원을 위한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지 불명확합니다. 또한 투자적 관점에서 누군가가 NFT를 비싸게 사주어야만 가능하다는 다단계적 성격이 불안하고, 현재 NFT 시장이 여러 프로젝트들에서 초기 민팅시기에 자금이 몰리는 점을 보았을 때 우려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제가 다시 새로운 NFT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면 무엇보다 운영진들의 투명성과 디지털 아트의 미술적 가치에 대에 초점을 맞출 거 같습니다. 허나 이는 충분한 시간의 리서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추가적인 투자는 보류중인 상황입니다.

 

소중한 시간 할애하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용에 대한 피드백이나 궁금한 점 댓글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반응형

'Blockchain >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FT 란? ICO와 다른점은?  (0) 2022.08.20
가상자산 지갑 종류 알아보기 (크립토 월렛)  (0) 2022.07.10
친절한 블록체인 설명  (4) 2022.02.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