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opentutorials.org/course/2717/11344
S3(Simple Storage Service)는 파일 서버 서비스로 웹에서 고객들이 업로드한 파일 혹은 웹에서 제공하는 파일등을 다루는 데 활용될 수 있다.
AWS의 설명에 따르면 물리적인 서버를 확보하는 것보다 자료가 유실될 확률이 현저하게 낮고 확장성도 훨씬 좋다고 한다.
또한 알람등 기타작업을 trigger 할 수도 있어 활용도가 높다.
실습(Nodejs)
웹어플리케이션에서 파일을 업로드했을 때 이를 S3 서버에 추가하게끔 하는 기능을 실습한다.
리눅스(ubuntu) 서버에서 s3_app.js 라는 js 파일을 만들고
위와 같이 코딩하고 이를 실행한다.
ip주소/s3으로 접근하면 "hello s3"을 확인할 수 있고.
ip주소/form으로 접근하면 아래와 같은 업로드 화면이 나온다.
이곳에 파일을 넣고 제출을 하게 되면 upload_reciver가 활성화된다.
formidable 함수를 활용하여 S3서버에 업로드하고, 업로드시 파일이 임시공간에 저장되는데,
이 공간 주소를 이용하여 파일을 웹상에 display 한다.
aws 클라우드 컴퓨팅을 조금씩 공부하며 느낀점이 있다. 이는 첫 사업을 시작하고 사업 크기를 조금씩 늘려가는 사업자에게는 정말로 좋은 서비스인 것 같다. 물리적인 서버를 두지 않아도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지불하면 되서 사업의 기초 투자비용이 작게 들게 해주기 때문이다.
반면 이미 규모가 큰 기업에게는 조금 고민거리가 될 것 같다. 서버를 대행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주긴 하지만 어쨋든 aws라는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것이므로 개발환경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고 느꼈다. 최근 SAMSUNG에서 자체 클라우드 서버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것이 아마 이런 맥락이 아닐까 싶다.
아직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공부가 부족하여 개인적인 확고한 의견을 가질 수 없는 상황이다. 조금 더 공부해 봐야겠다.
'Programming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erverless Web 게시판 만들기 -1 Lambda, API Gateway, DynamoDB 활용 (4) | 2021.02.07 |
---|---|
[AWS] EBS 추가연결 실습 (0) | 2020.05.09 |
[AWS] EBS 란? (0) | 2020.05.09 |
[AWS] RDS 란? (0) | 2020.04.16 |
[AWS] EC2 란? (0) | 2020.04.14 |
댓글